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입법예고]300인 이상 기업, '성평등 평가' 강화…보고항목 확대 추진

by 오냥꼬퐁 2025. 4. 30.
반응형

남녀고용평등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300인 이상 사업장은 앞으로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와 고용 불균형을 보다 정밀하게 보고해야 할 전망이다. 기존의 형식적인 고용개선조치에서 실질적인 성평등 평가 체계로 전환하겠다는 취지다.

장철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025년 4월 2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 성별 격차 보고 항목 확대…관리자·임원·육아휴직까지 포함

현행법은 일정 기준 이하로 여성 고용 비율이 낮은 3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시행계획'을 제출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조치가 단순히 여성 근로자 비율만 반영해, 남녀 간 임금 격차나 고용 형태, 관리직 비율 같은 실질적 성평등 문제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개정안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사업주로부터 ▲직종별·직급별 남녀 근로자 현황과 임금 현황 ▲여성 근로자·관리자·임원의 고용 비율 ▲고용형태별 여성 고용 비율 ▲남녀 근로자의 육아휴직 사용 비율 등에 대한 자료를 보고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기존 법령에서는 시행계획을 수립했더라도 사업주가 '성실히 노력했다'는 모호한 사유만으로 명단 공표를 회피할 수 있었지만, 이번 개정안은 예외 조항을 명확하게 규정했다. 사업주의 사망, 사업장 폐업, 회생절차 개시 등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명단 공표를 유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사업장의 성별 격차 전반에 대한 보다 정밀한 진단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단순히 여성 근로자 수만 늘리는 방식이 아니라 관리자, 임원, 고용 형태, 육아휴직 사용률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기업 내 성평등 수준을 세밀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사업주 입장에서는 민감한 인사·급여 정보 제출이 의무화되면서 기업 내부 보안 논란에서부터 행정 부담이라는 지적이 제기될 수 있다.

이번 개정안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