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시대에 발맞춘 노인 복지제도 개편이 추진된다. 주호영 의원(국민의힘)은 2025년 2월 24일, 노인 기준연령을 기존 65세에서 70세로 상향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노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1981년 법 제정 이후 40년 넘게 유지돼 온 노인 기준연령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첫 입법 시도로, 평균 기대수명이 늘고 고령층의 건강 수준이 향상된 점을 반영한 것이다. 특히 초고령사회 진입과 이에 따른 복지재정 부담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도 국회 논의 및 처리 여부가 주목된다.
개정안은 오는 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며, 노인 기준연령을 최종적으로 2035년까지 70세로 상향하도록 했다. 다만,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2035년까지는 연 0.5세씩 감경하여 적용하는 유예 기간을 뒀다. 이에 따라 초기 시행 연도인 2026년에는 만 65.5세 이상, 2027년에는 66세 이상, 2028년에는 66.5세 이상이 노인으로 간주되며, 2035년부터는 만 70세 이상에게 노인복지 혜택이 전면 적용된다.
개정 대상에는 생업 지원, 경로우대, 건강진단, 복지시설 입소, 노인학대 예방 및 금지 등 조항도 상향된 연령으로 개정하도록 돼 있어, 향후 복지 정책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예상된다.
이번 개정안을 둘러싸고 복지 축소에 대한 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기존 65세 이상이던 수혜 기준이 단계적으로 늦춰지면서, 수년간 혜택이 지연되는 계층의 불만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은퇴 후 소득이 줄어드는 65~69세 구간에서 '복지공백'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점도 우려 대상이다.
또한, 기성세대는 혜택을 그대로 누리지만, 뒤따르는 세대는 점차 혜택을 늦게 받게 되면서 세대 간 형평성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 여기에 65세 이상 고령자를 우대하도록 설계된 기존 일자리 정책, 공공요금 감면 등 제도 전반의 기준을 새롭게 정비해야 하는 만큼 그에 따른 혼란도 불가피해 보인다.
※ 이 글은 개인적 관점에서 서술한 것으로, 특정 단체나 이해관계자와는 무관합니다.
[해외사례]‘노인=65세’?…일본·독일은 어떻게 대응하나
우리 사회가 '노인'으로 규정해 온 65세 기준에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평균 수명과 건강수명이 눈에 띄게 늘어난 가운데, 정부는 노인 기준연령을 70세로 올리는 방안
non-main.tistory.com
'입법예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법예고]'간첩죄, 외국 단체까지 확대'...형법 개정안 발의 (1) | 2025.03.31 |
---|---|
[입법예고]교통약자 위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추진 (1) | 2025.03.31 |
[입법예고]'발달장애인 참정권' 보장 공직선거법 개정안 발의…현실화는? (0) | 2025.03.28 |
[입법예고]‘첨단조선업 특별법’ 발의…첨담조선업 경쟁력 높인다 (3) | 2025.03.28 |
[입법예고]관람료 납부 비율 상향, ‘국가유산보호기금법’ 개정안 발의 (1) | 2025.03.27 |